서포 김 만중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09-19 19:32
본문
Download : 서포 김 만중.hwp
앞의 문제에 대상으로하여는 논어주는 현자의 말이니 가볍게 여길 수 없고, 또 주를 읽지 않으면 전하는 뜻을 알기 어렵다는 입장을 피력한다. 학문태도와 관련하여 39세에 있었던 일화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만중은 윤후가 경연에서 “논어주(론어주)는 반드시 많이 읽을 것이 없다”고 한 것과 “글을 읽을 때에는 이름 부르기를 꺼릴 것이 없으니, 대성(대성)의 이름도 마땅히 꺼릴 것이 없다”고 한 것에 대해 맹렬히 비난하였다. 이 일화는 당시의 극도로 분열되었던 정치적 상황을 감안한다하더라도 김만중의 세계관을 보…(To be continued )
공인(공인)으로서 김만중은 당파적 이해만을 추구한다는 거듭된 비난에도 불구하고 군자의 당과 소인의 당은 다름을 주장하며, 일정한 정치적 입장을 ...
서포 김 만중
레포트/기타
Download : 서포 김 만중.hwp( 30 )
,기타,레포트
설명
순서
다.
공인(공인)으로서 김만중은 당파적 이해만을 추구한다는 거듭된 비난에도 불구하고 군자의 당과 소인의 당은 다름을 주장하며, 일정한 정치적 입장을 ... , 서포 김 만중기타레포트 ,






공인(공인)으로서 김만중은 당파적 이해만을 추구한다는 거듭된 비난에도 불구하고 군자의 당과 소인의 당은 다름을 주장하며, 일정한 정치적 입장을 관철시키고자 노력하였다.
김만중은 이 일로 말미암아 미세한 일을 빌미삼아 두 어진 신하인 윤후, 허목을 모함했다하여 파직당한다. 특히 “송나라 명나라 이래로 모두 집주(집주)를 숭상하였고 우리나라는 더욱 주자를 존중하였다”는 것을 강조하였다. 두번째 문제에 대상으로하여는 대성의 이름은 려리(려리)의 아낙네나 어린이도 마땅히 꺼려야 할 줄을 아는데, 법정에서 꺼리지 않고 읽는다면 성인을 업신여기는 것이 된다고 반박한다.